본문 바로가기
자동차

싼타페 MX5 하이브리드 가격 및 배터리, 연비

by 모터토크 2025. 4. 9.

싼타페-mx5-하이브리드-가격-배터리-연비

2024년 새롭게 선보인 싼타페 MX5 하이브리드는 현대자동차의 기술력이 집약된 중형 SUV로, 디자인 변화뿐 아니라 연비 효율, 첨단 안전사양, 공간 활용성에서 눈에 띄는 완성도를 자랑합니다.
특히 하이브리드 전용 시스템, 효율적인 복합 연비, 그리고 상위 트림에 적용된 블랙잉크 휠이 주목받고 있는데요.
오늘은 소비자들이 궁금해하는 핵심 키워드인 ‘연비’, ‘가격’, ‘배터리’, ‘블랙잉크 휠’까지 싹 다 정리해보았습니다.


✅ 싼타페 MX5 하이브리드 스펙 한눈에 보기


항목 내용

모델명 싼타페 MX5 하이브리드
출시연도 2024년형
엔진 1.6 터보 가솔린 하이브리드 + 전기모터
시스템 총 출력 약 235마력
구동 방식 2WD / AWD 선택 가능
변속기 6단 자동변속기
복합 연비 15.3km/L (2WD 기준)
전기모터 출력 약 44.2kW (60마력 수준)
배터리 종류 리튬이온 폴리머
배터리 용량 1.49kWh

연비와 출력의 균형을 모두 고려한 파워트레인 구성으로, 일상 주행은 물론 장거리 고속주행까지 만족도를 높인 것이 특징입니다. AWD 모델은 험로에서도 안정적인 주행감을 제공합니다.

 

싼타페 mx5하이브리드 바로가기


⛽ 실제 연비 성능은? 도심 vs 고속도로

공인 복합 연비는 **15.3km/L (2WD 기준)**이며, 실제 오너들의 후기를 종합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도심 주행 : 평균 13.5 ~ 14.5km/L
  • 고속도로 주행 : 최대 17~18km/L까지 확인

이는 하이브리드 시스템의 장점인 전기모터 보조주행이 도심 정체구간에서 강점을 보이고, 터보엔진의 힘이 고속주행에서 효율을 높이기 때문입니다.


💰 싼타페 하이브리드 가격 – 트림별 구성

싼타페 mx5하이브리드 바로가기

트림명 가격 (원) 주요 사양 요약

Exclusive 약 4,240만 원 기본 하이브리드 사양, 12.3인치 클러스터 및 인포디스플레이
Prestige 약 4,590만 원 스마트 센스, HUD, 통풍시트 포함
Calligraphy 약 5,040만 원 파노라마 선루프, 고급 내장재, 블랙잉크 휠 적용 가능

※ 옵션 선택에 따라 가격 차이가 있으며, 지역별 프로모션이 존재할 수 있습니다.


🔋 하이브리드 배터리 – 성능과 보증은?

싼타페 MX5 하이브리드에 적용된 배터리는 1.49kWh 리튬이온 폴리머입니다. 현대차는 해당 배터리에 대해 8년 또는 16만 km 보증을 제공하고 있어 장기간 사용에도 안심할 수 있습니다.

  • 배터리 위치 : 뒷좌석 하부
  • 장점 : 무게중심이 낮아 안정감 UP, 트렁크 공간 침해 없음
  • 열관리 시스템 탑재 : 고온·저온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전력 유지

🖤 블랙잉크 휠 – 고급스러움의 정점

상위 트림인 Calligraphy 모델에서는 전용 옵션으로 블랙잉크 휠이 적용됩니다.

  • 사이즈 : 20인치
  • 디자인 : 유광 블랙 마감, 역동적인 스포크 구조
  • 효과 : 차량의 존재감 극대화, 오염과 브레이크 분진이 잘 티 나지 않음

해외 소비자들 사이에서도 평가가 매우 좋으며, 리세일가 상승 요소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 왜 싼타페 MX5 하이브리드가 주목받는가?

✔️ 연비와 출력의 완벽한 밸런스
✔️ 친환경차 혜택 적용 (취득세 감면, 공영주차장 할인 등)
✔️ 넓고 효율적인 실내 공간 구성
✔️ 고급화된 디자인 요소 (내장, 휠, 헤드램프 등)
✔️ 정숙한 주행감 + 첨단 안전사양 기본 탑재


💡 구매 팁 & 참고 포인트

  • 연비를 최우선 고려한다면 2WD 추천
  • 블랙잉크 휠은 고급감 + 리세일가치 고려 시 적극 추천
  • 제휴 금융 프로그램 or 현대캐피탈 이용 시 초기비용 부담 ↓

❓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싼타페 하이브리드는 충전이 필요한가요?
A. 아니요. 외부 충전이 필요 없는 ‘일반 하이브리드’ 방식으로, 주행 중 자체 충전됩니다.

Q2. 하이브리드 모델 외에 LPG나 전기차 버전도 있나요?
A. 현재는 하이브리드, 가솔린, 디젤 세 가지 파워트레인만 운영 중입니다. LPG, 전기차 모델은 출시되지 않았습니다.